본문 바로가기
건강이야기

콜린성 두드러기 원인 증상

by 노란너구리 2020. 2. 28.
반응형

콜린성 두드러기 원인 증상 후기 등 몸에서 열이 나면 피부가 바늘로 찌르는듯 따가우며,

심할 경우 피부에 두드러기 같이 반점이 올라오는 증상인 콜린성 두드러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글을 포스팅 하는 저 역시도 콜린성 두드러기 증상을 겪은 적이 있으며, 매우 추운 겨울철에 특히나

많이 생겨서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알고있는데요.





콜린성 두드러기는 체온이 높아질때 나타나며, 콜린성 알러지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운동을 하거나, 뜨거운 음식을 먹을때와 같이 우리몸에서 체온이 올라갈 경우에 우리의 몸은

땀을 배출해서 체온을 낮게 해주게 되는데요. 선천적으로 혹은 다양한 환경이나 유전적인 요인들로 인해

혹인 스트레스나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서 땀이 나지 않을 경우에 피부 내부의 온도가 상승 하고,

열이 비만세포를 자극해서 따끔거림과 가려움을 동반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콜린성 두드러기는 원래 습하고 더운 여름에는 거의 증상이 없어 지는데요.

전혀 여름철에는 이러한 증상을 제가 있었는지도 모르고 살다가, 아주 건조하고 추운 겨울날에는 다시 콜린성 두드러기 증상이 생겨나서 애를 먹었습니다.


방탄소년단의 멤버 뷔 역시도 콜린성 두드러기를 앓고 있다고 뉴스에 보도가 되었었는데요.

심할경우에는 정말 피부에 울긋 불긋 반점도 생기고 사진 처럼 저렇게 벌겋게 나오기도 하며,

간지러운걸 넘어서서 아주 따갑고, 말씀드린것처럼 바늘로 찌르는듯한 고통이 생깁니다.






일반적으로 콜린성 두드러기는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젊은층에서 많다고 하는데요.

아무래도 젊은 남성의 경우 활동량이 훨씬 많고. 그러다 보니 체온이 급격하게 변화할 때가 많아서 그렇지 않나 싶습니다.


실제로 필자의 경우에는 추운 겨울철에 외부에서 건물 안으로 히터가 빵빵하게 틀어진 곳에 들어오면

급격한 체온의 변화로 인해 땀이 배출되지 않고, 그래서 엄청난 고통을 수반한적이 많은데요.


회사 생활을 할 경우에 추운 겨울철에 직원분들 몇몇은 자리에 따라서 매우 추워서 히터를 엄청 뜨겁게

계속 틀어놓을 경우 미친듯한 고통으로 사무실에 있을수가 없을 정도로 고통스러운 적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라면이나, 매운음식, 뜨거운 음식을 먹을 경우에도 이마나 머리 정수리 부분 등이나 목 부분에서 열이 발생하면서 매우 힘들었던 기억이 납니다.







처음에 이러한 증상이 생겼을때는 도대체 이게뭐지? 라는 생각을 하였는데요. 인터넷을 검색하다 보니

이러한 콜린성 두드러기가 있다는 것을 알고, 겨울철에 특히나 더 조심을 하려고합니다.


온몸이 따갑고 가려워서 고통이 정말 심한데요. 제가 개인적으로 효과를 본 몇가지 방법도 안내드립니다.

우선 겨울철에 몸을 항상 따뜻하게 하려고 노력을 했습니다.


추운곳에 오래 있다가 갑작스럽게 따뜻한 곳에 들어가면 급격한 체온변화가 생기니, 항상 몸을 따뜻하게

해주어서 최대한 체온 변화와 격차를 줄이려고 하였고, 어느정도 효과를 보았습니다.


예를 들자면 집에서도 편하게 반팔티만 입고 있는게 아니라, 추운 겨울철에는 옷을 껴입어서 체온을 올려주는 것이구요.


그리고 두번째는 겨울철에 주기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해서 땀을 내주는 것입니다. 이게 굉장히 중요한데요.

겨울철에 특히나 운동을 잘 하지 않으시는 분들은 땀이 난적이 거의 없으신 분들도 있으실겁니다.

이러할 경우에는 더 콜린성 두드러기가 제 기준에서는 악화가 되었기에, 무작정 아파트 단지를 뛰는 식으로해서 땀을 꼭 배출을 해주었습니다. 콜린성 두드러기는 체온이 살짝 높아질 경우 땀이 나지 않아서,

바늘로 찌르고 가렵지만, 계속해서 운동을 해서 에너지를 만들고 체온을 높이면 결국 땀이 나고,

그때 부터는 크게 고통스럽지가 않았기 때문에 저는 그렇게 유산소 운동을 하였는데요.


심하신 분들은 다를수도 있다고 생각 합니다.






그리고 몸을 건조하지 않게 보습에 신경을 많이 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물을 자주 마시고,

가습기를 틀어 놓으시고, 바디로션이나 핸드크림등을 자주 발라주셔서 건조하지 않게 해주시는것이 필수이고요. 개인적으로 히터를 꼭 피하시라고 알려드리고 싶습니다.


히터를 심하게 틀어놓은곳에 잠깐만 있으면 콜린성 두드러기가 정말 더 악화 되는듯이 

느껴 졌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히터를 피하라고 제안드리고싶어요.




그리고 기름진 음식을 피하시고, 인스턴트 식품을 피하시고, 주기적으로 운동을 꼭 하셔서

아는 사람만 안다는 극심한 고통의 콜린성 두드러기를 꼭 극복 하시기를 바랍니다.

이상 콜린성 두드러기에 대한 원인 증상 실제 겪은 후기 치료 등 여러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류마티스관절염 증상 원인  (0) 2020.03.01
백내장 초기증상 원인  (0) 2020.02.29
마른기침이 나는 이유 원인  (0) 2020.02.27
기관지염 증상 원인 폐렴  (0) 2020.02.26
수족냉증 원인 증상  (0) 2020.02.24

댓글